물류 서비스
수출입 운송
고객님의 물류고민 High Relocation이 해결해 드리겠습니다.
고객님의 물류고민 High Relocation이 해결해 드리겠습니다.
해상, 항공, 콘솔
해상화물(수출)
해상화물(수입)
삼국간 화물
항공화물(수출)
항공화물(수입)
내륙운송 / 통관 / 3PL
수출입
계약체결
신용장도래
수출물품
확보
출항
적재
적재항 운송
입항
부두직통관
보세장치장
화물반출
수입신고
세관
전국 운송망 구축
수출업무 및 통관 업무 대행
무진동, 항온 항습 운송 서비스
픽업부터 포장, 통관, 항공운송, Door To Door 서비스 까지 모든 절차 지원
보관 업무
내륙운송은 수출의 경우 공장에서 항구의 CFS, CY 혹은 공항창고까지, 수입의 경우 항구의 CFS, CY 혹은 공항 창고에서부터 수입자의 창고로 운송하는 것을 말하며, 크게 CONTAINER 운송과 LCL 및 BULK화물을 운송하는 트럭, 트레일러 운송, 공항에서 주로 당사 차량 (탑차)를 이용합니다.
운송기준은 CONTAINER화물은 종류 별로(20' 40'), LCL 화물은 무게 및 CBM기준, 큰 화물은 대형트럭 종류기준입니다.
Container 운송은 대형트럭을 이용하여 곧 바로 컨테이너를 트럭에 싣는 경우와 컨테이너 전용새시를 이용하여 운송하는 경우로 나눌 수 있으며, 거리 별 운송 종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long drayage : 보통 부산과 대전이북 지역간의 운송은, 통상적으로 one way 운임을 적용하고, 그 밖의 지역은 왕복운임을 적용합니다.
2) local drayage : 서울, 부산, 인천내의 시내운송을 말합니다.
3) shuttle drayage : 컨테이너 야드(CY)와 CONTAINER DEPOT, ODCY간의 왕복운임을 말합니다.
LCL 및 BULK 운송은 일반 적으로 대형 트럭이나 TRAILER를 이용하여 운송하며, 특별한 BULK 화물에 대해서 낮은 TRAILER 혹은 중량물 전용 TRAILER를 쓰기도합니다.
1) 부산으로 가는 LCL 화물은 운임절약을 위하여 집하 후 대형트럭을 이용하여 운송하는 형태를 취합니다.
2) 공항으로 가는 화물은 당사의 PICK UP 차량을 이용하여 운송합니다.
수출 통관인 경우
지역에 관계없이 하이릴로케이션 협력 관세사를 통하여 통관하거나 일반 관세사를 이용하여 통관 할 수 있습니다.
수입 통관인 경우
입항 전 신고
입항 하기 전에 수입통관절차를 거쳐 서류상으로만 통관 후 배송되는 통관 방법으로 CONTAINER 운송인경우에 해당되며, 같은 품목이 같은 SHIPPER, CONSIGNEE의 이름으로 반복적으로 들어올 때 가능한 통관 형태입니다.
부두 직통관
입항 전에 통관서류를 진행한 후 부두에서 통관하는 것으로 CY까지 들어오지 않고 곧 바로 배에서 내림과 동시에 파출 세관에게 통관허가를 받아 운송하는 형태. 파출료가 발생됩니다.
내장통관
CONTAINER에 물건이 들어있는 상태에서 세관이 CY에 파출하여 통관허가를 해주는 형태입니다.
CFS/영업 창고통관
LCL 화물, 대부분 CONTAINER에서 물건을 꺼낸 후 통관하기 때문 에 이 형태가 가장 많으며, 공항으로 들어오는 경우도 공항 창고에서 통관하는 경우가 가장 많음. 그밖에 보세 운송 후 자가창고, 혹은 타수 장치 장에 옮긴 후 창고가 있는 지역에서 통관하는 경우가 있습니다.